Clobbler

Clobbler

Clobbler

: 온라인 수선 리폼 플랫폼

Overview

쌓여만 가는 옷장 속 옷들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나요? 의류 폐기물은 환경오염에 주요인이라고 합니다. 패스트 패션이 성행하면서 옷을 관리하고 재활용하기보다는 새로운 옷을 사는 것이 더 편안해졌습니다. 의류 재활용률은 5%가 채 안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대면 온라인 서비스로 집 안에서도 편하게 의류를 재활용할 수 있는 클로블러 서비스를 디자인하게 되었습니다.

My role

서비스 디자인과 UX/UI 디자인 등 디자인 총괄을 맡았습니다. 비즈니스와 디자인을 연결하고, 고령의 서비스 제공자와 젊은 세대의 이용자 모두를 고려한 Inclusive UX/UI 디자인을 담당했습니다.

Background

Background

Background

의류 재활용률은 5%가 채 되지 않습니다. 옷장 속 가득한 옷.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이런 의류가 일으키는 환경오염은 00에 달합니다. 왜 재활용이 되지 못한 걸까요? 당장 저희 팀이 의류 재활용을 맡기려고 해도 업체를 찾기도 힘들고, 찾더라도 직접 찾아가야만하고, 전문가 분들과 소통하기 위해 의뢰 내용이 상세해야하고, 비용도 꽤 들고, 완성 후에 맘에 들지 않아도 수정할 수가 없는 많은 불편한 점이 존재했습니다. 패션업계 대부분이 성공적으로 온라인에 안착했음에도 수선업계는 여전히 오프라인에 대부분이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비대면 온라인 수선 리폼 플랫폼을 만들어 의류 재활용률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의류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자 하였습니다.

What I did

What I did

What I did

  • Service design

    기존의 의류 수선 리폼 방식은 직접 대면 1:1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를 완전 비대면화, 온라인화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과정이 필요했고, 이는 자연스럽게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함을 의미했습니다. 유저 리서치 결과 의류 수선리폼 서비스 이용 시 가장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은 가격과 번거로움이었습니다.


    산개되어있는 업체들을 자영업자와 마찬가지라 가격 책정이 마음대로였고, 이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큰 혼란이었습니다. 또한 패스트 패션이 성행하면서 저렴해진 패션에 비해 의류 수선리폼 가격은 우상향하고 있었습니다. 재료값과 월세가 오르는 데에 반해 의뢰가 줄면서 가격 상승이 될 수 밖에 없는 서비스 구조를 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의류 수선리폼 협회와 함께 평균 업체 수익과 의뢰 수, 가능한 최대 작업 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가격을 선정하고 가격 정찰제를 기획하였습니다.

  • ㅇㄹ

    직접 찾아가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두가지 문제를 해결해야 했습니다. 의뢰자의 의뢰 장소에서 의뢰 작업장까지 수거와 배송 서비스를 제공해야했고, 또한 비대면으로 의뢰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의사소통에 오해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했습니다. 수거 배송 서비스는 한국에서는 기존에 택배 회사 들의 시스템이 워낙에 잘 형성되어있었고, 작업자 분들 또한 가끔 택배로 의뢰를 받아 처리하는 경험이 있어 제휴를 통해 저렴하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문제는 비대면 의사소통이었는데, 의뢰자 분들은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통화 혹은 메시지로 소통시 원하는 방향이나 적절한 레퍼런스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를 듣는 고령의 서비스 제공자 분들은 비대면에 익숙치 않고, 답답해 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중간 소통자 즉, "코디네이터"를 두었으며, 이들은 패션 관련 종사를 하며 프리랜서로 이 소통에 상담사로 참여할 수 있었고, 다소 젊은 편에 속한 이들은 의뢰자들의 니즈를 잘 파악하고 적절한 전문 지식과 레퍼런스를 통해 구체화할 수 있었으며 이를 고령의 수선리폼 전문가 분들에 전달 또한 쉽게 하였습니다.





  • connecting business to design

    의뢰와 작업 과정에서 신뢰성을 높이고자 작업 tracking system을 구축하고, 서비스 제공자인 수선리폼 전문가 분들과 직접적인 대화 채널을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의뢰 전 각 전문가들의 작업들과 리뷰를 통해 이를 참고하여 원하는 작업자를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에 대한 신뢰를 향상 시켜 결과적으로 결제에 더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ㅇㄹ

    또한


  • inclusive service design

    서비스 이용자는 2030대를 타깃으로 하였으나 서비스 제공자인 의류 수선리폼 전문가 분들은 평균 60대의 나이였습니다. 이에 서비스 이용자들과 제공자들이 서로 다른 UI를 이용하면서도 같은 서비스 내에서 간편히 소통하도록 하였습니다.

Challenges

Challenges

Challenges

  • 고령의 서비스 제공자 분들 상대

    고령의 수선리폼 전문가 분들은 온라인에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배우고자 하는 열의도 있고, 배워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실상은 가르치려고 하면 배우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무척 어려워 하였습니다. 이들이 여전히 온라인, 디지털 사회에서 marginalized 되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 하향 산업의 인식 개선

    의류 수선 리폼 산업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시장이 외면하는 산업이었습니다.


  • 다양한 테크 필요

    젊은 세대의 고객과 고령의 전문가들의 소통을 돕기 위해 현재 패션 관련 전공 학생 혹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이를 상담 전용 AI로 교체할 계획입니다.

  • ㅇㄹㅇㄹ

    또한 완전 비대면화를 위해 사용자의 사이즈 측정을 디지털화 하기 위해 CV 기술을 도입해 3D로 체형과 사이즈를 측정하고 해당 데이터를 의류 수선리폼 작업 의뢰 시에 사용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아직 기술 성숙도(TRL)이 7단계에 다다르지 못해 활용이 불가능했습니다.

Impact(Result)

Impact(Result)

Impact(Result)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잠재력을 인정받아 다음과 같은 상을 수상할 수 있었습니다.


  • Got an Excellence Award - Won 3rd place for the 2023 IHEI Social innovation Çhallenge competition with platform, "Clobbler", Check out our presentation video here!


  • Got an Innovation Award - Got an Innovation Award in 9th Starbuck startup challenge with "Clobbler, Clothing tailoring platform"


또한, 솔루션 도출 과정에서 새롭게 구성된 '코디네이터'가 적용된 의뢰 프로세스를 특허 출원하였습니다.

  • Apply for Patent - Method of brokering repair and reform shops for fashion items based on mediation of coordinator

Detail

Problem Statement

Research

Interveiw

Survey

Competitive anaylsis

Define

User persona

Research

User journey

Research

Solution

Research

Information Architecture

Research

UI Design

Research

User testing

Feedback

Iteration

Got questions?

I’m always excited to collaborate on innovative and exciting projects!

Got questions?

I’m always excited to collaborate on innovative and exciting projects!

Got questions?

I’m always excited to collaborate on innovative and exciting projects!

Design meaningful values at the intersection of people and technology · ©2024 JoshJang

Design meaningful values at the intersection of people and technology · ©2024 JoshJang

Design meaningful values at the intersection of people and technology · ©2024 JoshJang